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김형주의 공공언어 이야기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김형주의 공공언어 이야기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38)
    • 생각 나눔 (17)
    • 언론 소개 (19)
    • 새책 소개 (2)
    • 강의 나눔 (0)
  • 방명록

분류 전체보기 (38)
2020 TV조선

'말모이 100년, 다시 쓰는 우리말 사전' 작업을 시작한 지 어느덧 5개월째 접어 들었다. 전체 작업 일정의 절반쯤 달려온 셈인데 너무나 갑작스러운 '코로나 19' 사태로 인해 현장 방언조사 전문가들의 발이 꽁꽁 묶여버렸다. 그나마 지역 어르신들의 참여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어서 다행이지만 시련을 피하기 어렵게 되었다. 다만 기획 단계부터 국민과 함께 사전을 만들 예정이었기에 좀 더 많은 국민의 참여를 기대할 뿐이다. TV 조선의 인터뷰 요청도 그런 의미에서 반갑게 응했다. 나름 TV 조선의 간판 프로그램으로 손꼽히는 '미스터트롯' 바로 앞 시간에 편성되었다고 해서 기대도 컸다. '미스터트롯'이 트롯 열풍을 불게 하였듯이, 누군가 방송을 보고 말모이 사무국으로 편지를 쓰거나 전화를 하기를 기대한다. 열풍..

언론 소개 2020. 3. 5. 23:31
2019~2020 조선일보・기자협회보

영화 덕분인지 국립국어원과 조선일보, 그리고 국어문화원이 한자리에 모였다. 주시경 선생과 김두봉 선생이 앞장서서 참여하고 조선광문회에서 1911년부터 시작한 우리나라 최초의 국어사전 편찬 사업인 〈말모이〉를 현대적으로 이어받기 위해서이다. 2019년 10월부터 2020년 8월까지 진행될 이 사업의 주된 목적은 표준국어대사전에 올라와 있지 않은 순우리말과 새말, 전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옛말과 입말 등 정겨운 사투리를 우리 국민의 손으로 직접 수집하여 새로운 사전을 만드는 데 있다. 여기에는 북한 지역의 말도 포함된다. 그야말로 한반도 전역을 아우르는 범국민 사전 만들기 사업이 시작된 것이다. 국립국어원이 기획하고 조선일보사가 주최하고 전국국어문화원연합회가 주관하는 형식으로 모임이 꾸려졌고, 문화체육관광부와..

언론 소개 2019. 10. 25. 22:56
2019 MBC・티브로드

2019년 7월 MBC 특집 다큐팀 작가에게서 연락이 왔다.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한글날을 앞두고 자문을 구한다는 내용이었다. 작가도 바뀌었고, 촬영팀과 바뀌었지만 질문은 비슷했다. 이런저런 이야기 끝에 우리말 가꿈이에 대해 취재하기로 하고, 두 번을 만났다. 첫 번째 만났을 때는 송백관 1층에서 우리말 가꿈이와 회의하는 장면을 찍었고, 두 번째 만났을 때는 연구실에서 인터뷰를 한 다음 거리로 나가 시민을 만나는 장면을 찍었다. 2019년 10월 티브로드 송용완 기자에게서 연락이 왔다. 2017년에도 우리 문화원을 찾았던 기자이다. 송 기자는 한글날이 전국체전과 겹치는 바람에 스포츠 용어에 관한 질문을 던졌다. 나는 스포츠 용어의 경우 일상 용어와 달리 순화어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고 대답했다. 왜냐하면 ..

언론 소개 2019. 10. 10. 23:32
이전 1 ··· 9 10 11 12 13 다음
이전 다음
최근에 올라온 글
TAG
  • 쉬운 한국어
  • 공공기관 평가
  • 글말생활연구소
  • 국어책임관
  • 문해력
  • 공문서 평가
  • 쉬운 공공언어
  • 한글날
  • 말모이
  • 품위 있는 공공언어
  • 언어비용
  • 공공언어
more
링크
  • 글말생활연구소
  • 충남리빙랩소통연구소
  • 충남탯말연구회
  • 김형주의 교열 이야기
  • 김형주의 사투리 이야기
  • 말모이 다시 쓰는 우리말 사전
  • 충남 사투리 말모이 사전
  • 순우리말 오류 사전
Total
Today
Yesterday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