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김형주의 공공언어 이야기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김형주의 공공언어 이야기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38)
    • 생각 나눔 (17)
    • 언론 소개 (19)
    • 새책 소개 (2)
    • 강의 나눔 (0)
  • 방명록

분류 전체보기 (38)
2020 KBS 라디오 <한민족 하나로> 일요초대석

말모이 온라인 사전(malmoi100.chosun.com) 작업을 마치고 나서 처음으로 출연 섭외를 받은 프로그램이 원종배 씨가 진행하는 KBS 라디오 일요초대석이다. 11월 10일 KBS 본관 5층 6스튜디오에서 녹화를 했는데, 11월 22일 일요일 오전 10시와 오후 8시 두 차례에 걸쳐 방송이 된다고 한다. 1시간 동안 진행되는 프로그램이라 말모이 사전 작업에 대해 하고 싶은 말을 충분히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막상 노래 듣고 하다 보니까 여전히 다하지 못한 이야기가 남는다. 처음 이 작업을 시작하면서 설레였던 마음과 작업을 마무리하면서 답답했던 마음을 담아 수필집이라도 한 권 내야겠다고 마음먹었다.

언론 소개 2020. 11. 10. 20:37
2020 국회보

2020년 1월부터 국회사무처에서 발행하는 국회보 '생활 속 우리말글'에 칼럼을 기고하고 있다. 200자 원고지 10매 분량이라 부담 없이 맡기로 했는데, 막상 원고를 쓰려고 하니 어떤 이야기를 꺼내야 할지 망설여진다. 비록 국회보 맨 앞 장이 아니라 맨 뒷장이지만 말이다. 담당자가 교훈이 있는 수필 형태보다 정보가 있는 설명문 형태로 원고를 구성해 달라고 해서 가벼운 마음으로 글을 쓰고 있다. [2020. 12. 1. 국회보] 국회보 2020.12 2020.12 www.naon.go.kr [2020. 11. 2. 국회보] [국회보 2020년 11월호] 생활 속 우리말글_보조 용언 바르게 쓰기 용언은 문장에서 서술어로 쓰이는 동사와 형용사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며 문장 안에서의 쓰임에 따라 본용언과 보조 ..

언론 소개 2020. 5. 20. 14:47
2020 한겨레

'박물관 언어'와 '공익광고 언어'에 나타난 언어 사용의 오류를 바로잡는 일을 한겨레 신문과 함께하기로 했다. 박물관 언어와 공익광고 언어는 무엇보다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소통성을 고려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가장 큰 문제는 자기 중심적인 언어 감수성이라고 생각한다. 언어에 대한 잘못된 인식은 결과적으로 인권 감수성과 성 감수성의 문제를 낳고, 더 나아가 소통의 단절을 가져오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함께 짚어보기로 했다. [2020. 11. 16. 한겨레] 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970182.html 한자 덧붙이기보다 풀이말 달아야 이해하기 쉬워 [쉬운 우리말 쓰기]연재ㅣ박물관 속 우리말 11회 www.hani.co.kr [2020...

언론 소개 2020. 5. 19. 11:42
이전 1 ··· 8 9 10 11 12 13 다음
이전 다음
최근에 올라온 글
TAG
  • 품위 있는 공공언어
  • 쉬운 공공언어
  • 공공언어
  • 언어비용
  • 국어책임관
  • 글말생활연구소
  • 공문서 평가
  • 말모이
  • 문해력
  • 쉬운 한국어
  • 한글날
  • 공공기관 평가
more
링크
  • 글말생활연구소
  • 충남리빙랩소통연구소
  • 충남탯말연구회
  • 김형주의 교열 이야기
  • 김형주의 사투리 이야기
  • 말모이 다시 쓰는 우리말 사전
  • 충남 사투리 말모이 사전
  • 순우리말 오류 사전
Total
Today
Yesterday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