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년에 이어 2021년에도 한겨레 신문사와 함께 '쉬운 우리말 쓰기 사업'을 진행하기로 했다.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문화사업부의 황은하 팀장님은 2명의 실무자와 함께 상명대를 찾아와 사업의 방향을 논의하는 열정을 보였다. 한참을 이야기하던 끝에 이번에는 '박물관'만큼이나 방문객이 많이 찾는 '동물원'과 '식물원'의 언어를 살펴보자는 의견이 나왔다. 실례로 2018년 10월부터 시범 운영을 시작한 서울식물원의 경우, 하루 평균 방문자 수가 18,000명에 달하고, 지금까지 누적 방문자 수가 1000만 명을 넘어섰다고 한다.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의 언어 환경은 어땠을까? 마침 비슷한 시기에 이해하기 어려운 '식물표지판'의 문제가 국무회의 석상에서도 다루어진 적이 있었는데, 얼마나 달라졌는지 점검..
5월 15일 '세종 나신 날'을 앞두고 '이데일리'의 윤종성 기자에게서 전화를 받았다. 윤 기자는 우리나라의 언어 사용 환경과 쉬운 언어 사용의 필요성에 대해 물었다. 그래서 현재 우리나라의 언어 사용 환경은 건강하지 못하고, 쉬운 언어를 사용하지 않으면 적지 않은 언어비용을 지출해야 한다고 답했다. 아울러 언어비용과 관련하여 2010년 현대경제연구원이 산출한 언어비용은 시간과 임금에 초점을 맞춘 경제적인 개념이었다면 2021년에는 어려운 언어를 접했을 때 받게 되는 스트레스를 지수화한 심리적인 개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결국 어려운 언어는 '소외'와 '차별'로 이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제 나흘 뒤면 세종 나신 날이다. 그 옛날 세종은 한자를 빌려 소통하는 것의 한계를 느껴, 누구나..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