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김형주의 공공언어 이야기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김형주의 공공언어 이야기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42)
    • 생각 나눔 (21)
    • 언론 소개 (19)
    • 새책 소개 (2)
    • 강의 나눔 (0)
  • 방명록

전체 글 (42)
2022 한글학회

2022년 4월 11일, 한글새소식 주간을 맡고 있는 성기지 님이 전자우편을 보냈다. 대전일보에 기고한 칼럼을 보았다며 쉬운 우리말 쓰기나 공공언어 쉽게 쓰기와 관련하여 원고 청탁을 한다는 내용이었다. 개인적으로 한글새소식의 독자이기도 하고, 원고를 보내지 않을 이유가 없어서 선뜻 보내기로 약속하고 어떤 내용을 쓸까 고민하다가 최근 한 지자체에서 겪은 일을 중심으로 개인적인 생각을 몇 자 적었다. [2022. 6. 한글새소식 제598호] 한글새소식 제598호(2022. 6.) : 한글 새소식 한글새소식 제598호 내용보기 ■ 머리글 새롭게 한글문화가 피어나길 기대하며: 황 준석······2 ■ 우리말과 우리 ‘쉬운 공공언어 쓰기’를 말하다: 김형주······4 시와 노래로 어린이 가 www.hangeul..

언론 소개 2022. 6. 8. 12:57
2022 한겨레

올해에도 한겨레 신문사와 함께 '쉬운 우리말 쓰기 사업'을 진행하기로 했다. 지난해 기사를 작성했던 김지윤 기자가 2명의 전략사업부 실무자와 함께 상명대를 찾아왔다. 한겨례 신문은 관련 기사를 교육란에 소개하기 때문에 기획의 특성상 이번에는 과학관과 천문대, 그리고 가정통신문상의 언어를 다루기로 했다. 특별히 가정통신문 언어를 다룰 때 다문화가정의 이해도를 꼭 한번 확인해 달라고 부탁을 했다. 어쩌면 다문화가정에는 순화대상어뿐만 아니라 순화어조차도 이해하기 어려운 말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2022. 10. 31. 한겨레] 우화는 ‘날개돋이’로, 포란은 ‘알품기’로 쉽게 써볼까 연재ㅣ쉬운 우리말 쓰기과학관·천문대 속 우리말 ⑥변태 대신 ‘탈바꿈’측선 비늘은 ‘옆줄 비늘’기부는 ‘바탕부분’으로 www...

언론 소개 2022. 4. 6. 22:44
2022 대전일보

대전일보 박하늘 기자에게서 연락이 왔다. 2022년 대전일보 상반기 외부칼럼을 맡아달란다. 2022년 1월부터 6월까지 한 달에 한 편씩 대전일보 '세상보기'란에 원고를 보내기로 하였다. 외부칼럼은 '국회보'에 이어 두 번째지만 그때와 달리 주제에 제한이 없다. 내가 하는 일과 관련하여 자유롭게 써 달라고 하니, 그동안 토막 인터뷰로 풀어내지 못한 답답함을 다 털어낼 수 있는 좋은 기회라는 생각이 들었다. [2022. 6. 15. 대전일보] [여론광장] 쉬운 말과 따뜻한 말의 힘 - 대전일보인간을 비롯해 대다수 동물은 많든 적든 무리를 지어 생활한다. 생존하기 위해 각자가 지불해야 하는 비용을 아끼기 위해서다. 무리를 지으면 그만큼 적은 비용으로 생존 확률을 높일 수 있다.www.daejonilbo.co..

언론 소개 2022. 1. 3. 16:22
이전 1 ··· 7 8 9 10 11 12 13 14 다음
이전 다음
최근에 올라온 글
TAG
  • 공공기관 평가
  • 품위 있는 공공언어
  • 글말생활연구소
  • 문해력
  • 공공언어
  • 한글날
  • 쉬운 공공언어
  • 말모이
  • 공문서 평가
  • 사투리 사전
  • 언어비용
  • 방언 사전
more
링크
  • 글말생활연구소
  • 충남리빙랩소통연구소
  • 충남탯말연구회
  • 김형주의 교열 이야기
  • 김형주의 사투리 이야기
  • 말모이 다시 쓰는 우리말 사전
  • 충남 사투리 말모이 사전
  • 순우리말 오류 사전
Total
Today
Yesterday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