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공공기관 공공언어 사용 실태 평가가 이루어진다. 며칠 전 국립국어원이 발표한 2025년 중앙행정기관 등의 공공언어 진단 및 지침 정비 사업과 2025년 지방자치단체 공공언어 진단 사업 입찰 공고문을 살펴보니, 올해에는 638개 기관을 대상으로 평가를 할 모양이다. 평가 방법이나 평가 기준은 바뀌지 않았지만 보도자료 수집과 관련해 지난해 평가에서 제외되었던 기관들이 있었던 만큼 올해는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은 듯하다. 그런데 문제는 하위 10%에 해당하는 미흡기관들의 반응이다. 지난해 교육지자체와 공공기관의 성적표가 먼저 공개되었는데 미흡기관으로 선정된 기관들이 앞으로 어떻게 대응할지 무척 궁금하다. 언론에서조차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아 공개 망신은 피한 듯한데 올해 평가에서..

드디어(?) 문화체육관광부가 ‘2024년 공공기관 공공언어 사용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비록 일부에 불과하지만, 135개 공공기관이 공공언어 성적표를 받아든 셈이다. 이번 평가 결과는 지난 2021년 6월에 개정된 「국어기본법」에 따라 2022년과 2023년에 기초 연구와 시범 평가를 거쳐 2024년에 시행된 첫 번째 본평가 결과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번 평가로 드러난 17개 교육지자체와 118개 공공기관 중 상위 30%에 해당하는 우수 기관 27곳과 하위 10%에 해당하는 미흡 기관 10곳의 이름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어떤 기관의 성적이 우수하고 미흡한지 소문이 나야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공공언어를 사용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는 중앙행정기관만을 평가했지만 이제 ..

하루 전 프레시안> 기사 중에 “이재명의 급격한 ‘정책 피봇’, 성공할까?”라는 제목이 눈에 띄었다. 왜냐하면 그 짧은 제목에 두 가지 잘못이 있었기 때문이다. 우선 ‘피봇’은 올바른 외래어 표기가 아니다. ‘중심’ 또는 ‘돌다’를 뜻하는 pivot의 발음기호는 [pɪvət]이므로 ‘피벗’이라고 적어야 한다. 같은 이유로 ‘피보팅’도 ‘피버팅’이라고 적어야 한다. 그런데 문제는 그러한 정확성 오류에 있지 않다. 소통성 오류가 더 큰 문제이다. 독자 중에는 “급격한 정책 피봇”이라는 말이 무슨 뜻인지 모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런지 글을 쓴 이도 “원래 스포츠 용어인 피봇은 농구에서처럼 한 발을 축으로 방향 전환하는 것을 이르는데 최근 비즈니스(특히 스타트업) 분야의 일상적 용어가 됐다.”라고 부..
- Total
- Today
- Yesterday